니어 프로토콜(Near Protocol) 이란? 특징 및 전망에 대하여 1편

가장 빠른 코인 뉴스!!! 코인도서관 카카오 채널 ! 가장 빠른 코인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목차

이더리움 킬러라고 불리우는 니어 프로토콜

DeFi(분산형 금융)나 NFT(대체불가능한 토큰)의 수요가 증가해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갖춘 암호화폐 이더리움(ETH) 블록체인은 넓게 이용 되고 있습니다. 그에 호응하듯 이더리움이 비트코인(BTC)의 시가총액을 앞지르는 역전에 대한 예상이 암호화폐 커뮤니티들 사이에서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편, 급격한 수요의 증가로 이더리움의 유저가 대량으로 증가해 트랜잭션도 급증 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가스 수수료가 급등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큰 과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커뮤니티에서는 과제 해결을 위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그 사이에도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가진 새로운 블록체인이 탄생하고 있어 이제는 이더리움은 쫓기는 처지가 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이더리움의 시가총액을 추월할 수 있는 새로운 블록체인은 ‘이더리움 킬러’로 불리며 이더리움의 시장점유율을 빼앗을 존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이더리움 킬러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니어프로토콜에 대해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니어프로토콜의 개요

니어 프로토콜은 고속 처리가 가능하여 낮은 수수료로 이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입니다.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레이어 1의 메인 체인으로서 dApps(분산형 어플리케이션) 구축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이더리움 킬러라고 불립니다. 프로젝트의 목표는 사용자 체험의 질을 높여 환경에 영향이 적은 블록 체인으로서 Web 3.0(분산형 웹)의 참가 장벽을 없애는 것입니다.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자신의 돈과 데이터를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세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개발자들이 사용하기 쉽도록 설계되어 있는 점도 큰 특징입니다. Rust 및 Assembly Script와 같은 비교적 널리 이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이 이루어지며 현재 Web2.0과 다를 바 없는 개발환경을 제공하고 Web3.0과의 가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니어 프로토콜 특징

위에서 얘기한 특징 중 니어 프로토콜 최대의 특징은 처리가 빠르다는 것입니다. 공식 문서에 기재는 확인할 수 없지만 많은 외신들이 장래에 10만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게 될 것 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비트코인의 블록체인이 1초에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 수는 7, 이더리움은 15로 되어 있습니다. NEAR Protocol은, 고속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샤딩 이라고 하는 구조를 도입했습니다. 샤딩이란 하나의 블록체인으로 모든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샤드 라는 단위의 여러 개의 체인을 만들어 트랜잭션을 분산시키고 병행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더리움도 컨센서스 레이어(ETH 2.0)에 셔딩을 도입할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Nightshade 란?

니어 프로토콜 의 샤딩 시스템은 Night shade 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샤딩은 병렬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처리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더리움도 샤딩 도입을 계획하고 있으나 아직 구현되지 않았습니다. 니어 프로토콜은 샤딩 구현이 이더리움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도 평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편 샤딩의 내재화에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니어프로토콜은 안전하게 실장을 진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4가지 단계로 나누어 샤딩 기능의 실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단계 0: Simple Nightshade (2021년 11월에 론치 완료)
  • 단계 1: Chunk-Only Producers (2022년 1월에 론치 예정)
  • 단계 2: Night shade (2022년 7월 ~ 9월에 출시 예정)
  • 단계 3: Dynamic Resharding (2022년 10월 ~ 12월에 론치 예정)

기능을 단계적으로 향상시켜 가기 위해, 단계 0에서는, 우선은 4개의 샤드를 탑재해 전체 샤드의 트랜잭션을 동일한 블록에 포함하도록 하여 단일 블록체인처럼 가동시키고 있습니다. 이것으로도 처리 속도는 큰폭으로 향상한다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단계 1에서는, Chunk만을 생성하는 Chunk-Only Producer라고 하는 역할을 도입 하였습니다.Chunk는 샤드별로 이루어진 블록을 말합니다. 이 단계에서 운영을 실시하는 밸리데이터의 수를 늘려 분산성을 향상시켜 나가겠다고 합니다. 덧붙여 2022년 1월에 「Chunk-Only Producers」를 도입할 예정이었습니다만 단계 1의 실현은 2022년 중반 경이 된다고 1월에 발표했습니다.

블록체인의 상호 운용


니어 프로토콜은 다른 블록체인과 상호 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가상 머신(EVM)에 대응하는 것 이외에 주로 다음과 같은 프로덕트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 Aurora
  • Octopus Network
  • Allbridge


오로라는 이더리움의 블록체인과 연결하기 위한 브릿지 라고 불리는 프로덕트입니다.벌써 SushiSwap나 Curve 등 80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오로라상에서 가동하고 있습니다. Aurora 상에서 운용을 위해서 잠긴 암호화폐의 총가치 TVL(Total Value Locked)는 4.3억달러( 약 4900억)입니다.

Octopus Network는 비트코인, 폴카닷, 코스모스 등 여러 블록체인과 상호 운용을 위한 프로덕트 Rainbow Bridge라는 브릿지를 통해 이더리움의 블록체인과도 송금이 가능합니다.공식 웹 사이트에서는 Oct opus Network란 웹 3.0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기 위한 멀티체인 암호화폐 네트워크 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직 Octopus Network는 2021년 10월에 메인넷을 론칭한 지 얼마 안되어 있으며 2022년 이후에도 상호운용실현을 위해 개발이 진행되어 갈 예정입니다.

Allbridge는 솔라나(SOL) 아발란체(AVAX) 테라(LUNA) 셀로(CELO) 등 여러 블록체인과 접속합니다. 지원하는 블록체인에 니어프로토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니어프로토콜 토큰, 소위 말하는 니어프로토콜 코인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서 진행 하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빠른 코인 뉴스!!! 코인도서관 카카오 채널 ! 가장 빠른 코인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Stay in the Loop

Get the daily email from CryptoNews that makes reading the news actually enjoyable. Join our mailing list to stay in the loop to stay informed, for free.

Latest stories

- Advertisement - spot_img

You might also like...